오늘은 절대 모르면 안되는, 모르면 애매하면서도 모르면 굉장히 움츠러드는 와인 매너에 대해 다루어 보려고합니다. 비지니스를 하며 와인은 최강의 도구가 될 수 있는데 비지니스에서만 그럴까요? 알아두면 가볍게 사용할 수 있는, 또한 움츠려들지 않는 중요한 식사자리, 이성의 환심을 얻어야 하는 자리에서 와인에 대해 멋지게 한 마디를 해보자. 의외로 놓치고 있는 사소한 것들을 살펴보죠!
1. 와인 건배, 건배를 할 땐 와인 글라스가 닿지 않도록 하자.
와인을 곁들인 식사자리에서 빼놓을 수 없는것이 건배다. 이 때 글라스를 부딪칠지 말지는 어떤 와인잔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른데 고가의 와인잔의 경우 굉장히 얇고 섬세한 경우가 있어 깨질 위험이 있다. 입술에 닿는 부분이 깨지게 되면 상처를 입을 수 있으니 가급적이면 글라스가 닿지 않게 건배하는것이 좋다. 잔 들어서 아이 컨택을 하면 되는데 너무 느끼하게 쳐다 보진 말자. 참고로 식사자리의 주최자가 어려운 윗 사람이고 자꾸 잔에 닿으며 건배를 한다면 조심스럽게 와인 잔의 입술이 닿는 끝 부분이 아닌 몸통 부분으로 살짝 부딪치는 것도 나쁘진 않다.
와인잔 구조 |
2. 와인 받을때 제발 두 손으로 받지 말자.
우리나라 사람들은 소주, 맥주를 두손으로 공손히 받아 술먹는게 몸에 배어 있어서 와인에 적용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게 참 애매한건데 윗 사람이 와인을 따라주는데 가만히 있자니 건방져 보이고 두 손으로 받자니 매너에 어긋나고 이럴 때 우린 와인 밑 받침 부분에 손만 살포시 올려주자. 이정도면 충분하고 와인을 대접하는 윗 사람이라면 이정도 매너는 알고 있을것이니 걱정하지말자. 근데 왜 잔을 높이 들어 받들지 않는걸까? 서양인들은 와인잔을 놓고있어야 와인 따르기가 편하기 때문이란다. 높이 들면 오히려 불편해서 그렇다고 한다.
3. 와인잔을 더럽히지 말자.
모든 잔이 그렇지만 와인잔은 예쁜 크리스탈로 된 경우가 많은데 그 부분에 내 입술 자국, 음식 자국, 심지어 손의 지문을 묻히는것도 예의에 어긋난다고 한다. 그럼 기름진 음식을 먹었을때는 어떡하나? 이 땐 냅킨으로 입을 살짝 닦은 뒤 다시 와인을 마시면 된다. 사실 별거 아닐 수 있는데 프로 불편 러들이 많은 세상이지 않은가? 특히 중요한 비지니스 자리같은 데서는 이런 거 하나 하나 콕 찝어서 당신의 가치를 깎아 내릴 수 있으니 지켜주자
4. 중간 중간 향을 즐겨주는 스월링(Swirling & Smell)하자.
와인은 소주처럼 톡 털어마시는 술이 아니다. 와인을 마실 땐 와인잔을 두 세번 돌리며 향을 음미하는게 좋은데 왜 이렇게 하느냐면 이 행위는 스월링(Swirling)이라고 하는데 공기중에 몇 바퀴 돌림으로써 공기와 와인이 접촉하게 하는 것이다. 고가의 와인일수록 이걸 함에 따라 향도, 맛도 달라진다는 것이다. 어떤 와인은 와인을 따서 전용 디캔터에 넣고 2-3시간 공기에 브리딩한 뒤 마셔야 진가를 알 수 있는것도 있다. 참고로 따서 바로 마셔도 되는 와인을 일각에선 '뽕따' 라고 한다.
스월링 |
뽕 따서 바로 마시는 와인이라도 소주 마시듯 그냥 마시지 말고 와인의 향을 중간중간 음미해주며 그 느낌을 상대방과 공유하는 것이 또 와인 마시는 재미라고 생각한다. 스월링 팁은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자.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상대방에게 튈 수 있고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나한테 튀기 때문에 이건 상대방에 대한 배려차원이며 이거 배웠다고 또 지식 자랑하며 뽐내지는 말자. 와인도 숙성을 시켜야 한다. 와인을 오픈한 뒤 바로 마시지 않고 공기와 충분히 접촉될 수 있도록 시간을 주는 것이 좋다. 편의점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와인이라도 브리딩을 거치면 맛이 충분히 좋아진다. 여기에 와인을 마시기 전 스월링을 하면 더 맛있는 와인을 즐길 수 있다. 스월링은 와인잔을 손목을 이용해 가볍게 흔들어 공기 접촉을 최대화 시키는 것이 좋다.
5. 와인은 가득 따르면 안된다.
레드와인을 가득 따르게 되면 위에서 말한 스월링이 힘들어진다. 보통 와인잔의 볼록한 부분까지만 따르는것이 좋다. 대략 1/3에서 1/4정도. 단, 화이트와인의 경우엔 공기와 접촉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적당량을 따라도 괜찮다. 특히 스파클링 와인의 경우는 가득 따라도 무관하다.
6. 와인 첨잔에 대한 오해와 진실
이것도 역시 우리나라 사람들 소주 먹는 습관때문에 그렇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소주잔이 비기가 무섭게 잔을 따라주지 않으면 예의가 없다고 생각하는 문화가 있다. 와인도 잔이 빈 상태가 오래되면 안되는데 주의해야 할 것이 있다. 잔이 완전히 비어도 안되고, 빈 잔이 오래 지속 되어도 안된다. 첫째, 와인 잔을 깨끗이 비우는것도 예의가 아니다. 이건 상대방과 이제 그만 마시고 싶다는 것을 어필 할 수 있는것이라 주의해야한다. 마지막 잔을 제외하고는 모두 비우지 말아야한다. 미세하게 적당량을 남기는 것이 좋다. 둘째, 소주와 마찬가지로 빈 잔이 오래지속 되기 전에 와인 잔이 줄어들어 거의 없어지기 직전에 첨잔을 해주된다. 자주 와인을 첨잔하는 것은 생각해 보아야한다.
와인은 공기와 접촉시키며 즐기는 술인데 이런 술에 자주 첨잔을 하게 되면 맛과 향이 변하게 되므로, 잔이 살짝 줄었다고 바로 첨잔해 주는 것은 좋지 않다는 이야기이다. 적당히 잔이 비었을 때 1/3에서 1/4정도를 따라주자. 와인은 소주와 맥주처럼 벌컥벌컥, 원샷으로 마시는 주종이 아니다. 와인은 앞서 말한 것처럼 충분한 공기 접촉을 통해 풍미를 올려야 한다. 와인 맛있게 마시는 방법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레스토랑에서 괜히 와인이 남아있는데, 따라주는 것이 아니다. 와인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새로 와인을 따르면 마실 때마다 새로운 맛과 향을 즐길 수 있다.
7. 와인 마시는 적정 온도
와인을 가장 맛있게 마실 수 있는 적정 온도는? 레드와인은 15~18℃, 화이트 와인 7~10℃, 스파클링 와인 5℃ 정도이다. 그렇다면 매번 이 온도를 맞추기 위해 온도계를 이용해야 할까? 손으로도 온도 체크를 할 수 있는데, 레드와인은 손으로 집었을 때 병이 차갑다고 느껴질 정도. 화이트 와인은 보통의 경우 냉장고가 5℃ 선에 맞춰져 있기에 냉장고에서 꺼낸 후 10분 뒤, 스파클링와인은 꺼내서 바로 마시면 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