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오늘은 캐피탈, 저축은행, 카드론 등 빌리는 순서 그리고 갚는 순서에 대한 간단한 이야기다. 최근에 사촌 동생이 겪은 일련의 사건으로 인해 쓰는 글이다. 사건의 자초지종에 대한 이야기는 기회가 되면 나중에 좀 풀어볼 생각이다. 뭐 간단히 정리하면 '아무 데서나 생각 없이 빌리면 이렇게 고생한다' 정도가 되겠다. 아무튼 본론으로 그동안 커뮤니티나 지인들을 통해 은근히 어디서 먼저 빌려야 하는지 혹은 어디를 먼저 갚아야 하는지 궁금해하는 사람이 많더라. 사실 정답이 있기보다는 여러 가지를 고려하고 판단해야 하지만 기본적인 부분은 있다. 우선 상환 순서부터 알아보자.
1. 갚는 순서
금리
금리가 높은 걸 먼저 갚는 것이 기본이다. 즉, 이자가 많이 나가는 걸 먼저 갚는다는 건데 이유 설명이 필요한가. 그냥 쉽게 생각해서 금리가 높은 걸 오래 두면 둘수록 내가 내야 할 돈은 많아진다. 물론 상황을 봐야 하는 경우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이자를 많이 내야 하는 걸 먼저 갚자.
금융권
어디서 빌린 것인지도 중요하다. 이걸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싶지만 혹시나 해서 쓰는 부분이다. 3금융, 2금융, 1금융 순서로 갚는 것이 맞다. 여기서 3금융은 대부 업체 등을 말한다. 2금융은 저축은행, 카드론, 캐피탈, 보험사 등이 속해있고 1금융의 경우 우리가 알고 있는 은행권이다. 사람들이 많이 물어보고 궁금해하는 것이 부분이 같은 2금융권에서 어떤 것을 먼저 갚아야 하는 부분이다. 아래에서 소개할 여러 가지 부분을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지만 사실 큰 차이는 없다고 본다. 다시 말해 조건을 보고 판단해야 한다는 소리다.
고려사항
앞에서 소개한 부분은 말 그대로 기본적인 판단 기준이다. 상황에 따라서 다르게 판단해야 할 경우도 있다. 그렇다면 어떤 부분을 고려하고 판단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① 전액 상환이 가능한가? 아무리 금리가 낮고 은행권에서 이용 중이라도 금액이 작아서 완전 상환이 가능할 경우에는 먼저 갚는 것이 좋을 수 있다. 개수 줄이는 것은 신용 및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② 계좌수를 줄일 수 있는가? 위와 비슷한 의미지만 방법이 다를 수 있다. 바로 대환이나 통합을 이용하는 것이다. 햇살론 혹은 새희망홀씨 등을 통해서 가능한데 조건이 존재하니 꼭 알아보자.
③ 금리 및 금융권 이동 금리를 낮출 수 있거나 1금융권 등으로 갈아타는 것도 가능한지 알아보자. 이는 단순히 갚을 돈이 줄어드는 것뿐만 아니라 신용등급 등에도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④ 단순 통합 및 대환은 주의하자. 의미 없는 갈아타기는 피해야 한다. 단순히 개수를 줄이기 위해서 금리 상승 등 월상환액이 늘어나거나 1금융권에서 멀어지는 것을 주의하자. 물론 연체 등의 상황에 따라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⑤ 금리인하요구권 자신의 소득이나 신용상의 변동이 있을 경우에는 금리를 낮출 수 있을 수 있다. 은근히 이 제도를 이미 알고 있으면서도 남 얘기만 듣고 확인 자체를 안 하는 경우가 많은데 꼭 직접 확인하자.
2. 빌리는 순서
이제까지 캐피탈, 카드론 및 저축은행의 등의 갚는 순서에 대해서 얘기했다. 그렇다면 반대로 빌리는 순서는 어떨까. 결국 동일하다. 위에서 이야기한 순서 및 조건을 반대로 적용하면 된다. 금리, 금융권 등의 기본적인 부분부터 예외 및 고려 사항을 통해서 판단하면 된다. 불법적이거나 정상적이지 않은 곳을 제외하고 무조건 좋거나 나쁜 곳은 없다. 자신의 상황에서 어떤 것이 좋은지 바로 앞만 보지 말고 조금만 장기적으로 생각해 보면 의외로 판단이 쉬운 경우가 많다.
마무리
상품에 대한 조건 및 심사 기준에 대해서 꼭 직접 발품을 팔자. 인터넷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다른 사람의 후기나 사례를 통한 정보는 언제든지 달라질 수 있고 심지어 잘 못된 경우도 있다. 물론 내 글도 포함한다.
대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