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지도가 만들어진 이유, 지도의 기본요소 위도와 경도, 지도에서 방향 찾는 방법

들어가며

혹시 낯선 장소에서 목적지를 찾지 못해 헤매 본 적이 있나요? 빠르고 정확하게 목적지를 찾기 위해서 우리는 지도를 사용합니다. 지도란 땅의 모습을 일정한 비율로 줄인 뒤 기호를 사용하여 평면에 나타낸 것을 말합니다. 놀이동산이나 동물원에 갔을 때, 어떤 것이 어디에 있고 또한 얼마나 가야 있는지 등을 한 번에 알 수 있다면 타고 싶은 놀이기구를 정하기가 훨씬 쉬워질 것입니다.


1. 지도는 왜 만들어졌을까?

이럴 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놀이동산에서 제공하는 안내 지도입니다. 놀이동산 곳곳에는 현재 위치, 놀이기구의 위치와 거리 등이 알아보기 쉽게 나타나 있는 안내 지도가 있습니다. 낯선 곳으로 여행을 갔을 때에는 관광 안내 지도를 보면 쉽게 길을 찾을 수 있습니다. 관광 안내 지도에는 그 지역의 주요 관광지 위치가 표시되어 있고, 때로는 주요 관광지 간의 거리 또는 이동 시간도 함께 나와 있기 때문에 목적지를 선택하고 원하는 코스대로 찾아가 관광을 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주변의 식당과 잠을 잘만한 숙소들이 함께 안내되어 있어서 여행지에서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2.지도의 기본 요소

지도의 기본 요소는 지도 제목, 방위표, 기호와 범례, 축척 그리고 제작자와 제작 시기 등 다섯 가지이다. 등고선은 지도의 기본 요소에 포함되지 않지만 대축척 지도에서 땅의 높낮이를 표현하는 수단으로써 활용되기 때문에 학습의 대상이 된다.

방위

방위는 기준에 따른 일정한 방향 또는 그 방향에서 측정한 다른 방향을 말한다. 지도에서는 동서남북을 이용해 위치를 나타내는데 이것을 방위라고 한다. 지도에서 방위는 방위표를 이용해서 나타낸다. 방위표가 없는 경우 위쪽이 북쪽, 아래쪽이 남쪽,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이라고 약속한다.


축척[scale, 縮尺]

지표상의 실제거리와 지도상에 나타낸 거리와의 비율을 의미하며, 지표면의 상태를 지도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분자를 1로 하는 분수형 또는 비형으로 표시되며, 줄임자나 거리 눈금의 자가 표시되는 경우도 많다. 축척을 나타내는 분수가 클수록, 즉 분모의 수가 작을수록 대축척이며 축척에는 1/500 정도부터 수천만 분의 1까지 있다.


기호

기호는 땅 위에 있는 건물이나 도로와 같은 것들을 간단하게 그린 그림이다. 지도에서는 건물의 모양이 어떻게 생겼는지 자세하게 그릴 수 없기 때문에 실제 모습을 간단하고 단순하게 표현한 기호가 필요하다. 


3. 방향을 찾는 방법

 방위표를 활용하는 방법 /지도에서는 동서남북을 이용해 위치를 나타내는데, 이를 방위라고 한다. 방위는 방위표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방위표에는 4방위표, 8방위표가 있다. 4방위표에서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 아래쪽이 남쪽, 위쪽이 북쪽이다.

북극성

캄캄한 밤에 길을 잃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낮이라면 태양의 방향의 방향을 보고 대충 방향을 짐작하겠지만, 밤에는 하늘의 별을 보고 방향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 중 하나의 별이 북극성입니다. 복극성은 북극점과 직선상의 거리에 있는 별입니다. 북극성은 북쪽하늘에 나타나며 2등성이기 때문에 눈여겨 관찰해야 찾을 수 있습니다.


시계

시계를 가지고 남쪽을 찾는 방법이 있어요. 이때 사용하는 시계는 전자시계가 아닌 분침과 시침이 있는 것이라야 합니다. 태양을 현재 시침에 맞추어 12시와의 중간 지점이 가리키는 방향이 남쪽입니다. 또한, 시계의 시침과 분침이 12시를 가리킬 때 해의 방향과 일치시키면 남쪽입니다.


나이테

나무 밑기둥에 나타난 나이테의 형태를 보아 나이테 사이가 좁은 곳은 북쪽, 간격이 넓은 곳이 남쪽입니다. 이같이 나무의 나이테를 보고 방향을 구분할 수 있는 이유는, 나무의 남쪽을 향하고 있는 부분은 북쪽에 비해 좀 더 많은 양의 햇빛을 보기 때문에 나무가 더 잘 자랐기 때문입니다.


그림자

그림자가 이동하면서 남기는 흔적을 이용해서 북쪽을 찾을 수 있습니다. 햇빛이 비치는 곳에 막대를 세우고, 그 다음에 햇빛 때문에 생기는 막대의 그림자 끝에 표시를 합니다. 그리고 시간 간격을 두면서 지금까지 한 과정을 반복해 하면, 이제 몇 개의 그림자 표시가 생길 것 입니다. 그리고 그 그림자 끝부분들을 모두 이으면 바로 해가 뜨고 지는 방향인 동-서의 기준선이 됩니다. 이 기준선에 수직선을 그으면 정확한 북쪽 방향을 알 수 있습니다.


4.위도와 경도(Latitude and Longtitude)

세계지도나 지구본을 자세히 살펴보면 가로선과 세로선이 그어져 있습니다. 가로선은 위선이라 부르고 적도를 기준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의 각도인 위도를 나타낸 것이며, 세로선은 경선이라고 부르고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로부터 동서로 떨어진 각도인 경도를 나타낸 것입니다. 지도상의 위치를 이야기할 때 이 두 개의 선을 사용하여 위도와 경도로 표시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북위 33°~43°, 동경 124°~132°에 위치합니다. 위도와 경도 중 각 지역의 시간을 정할 때 알아야 할 것은 경도입니다.

위도와 경선
위도와 경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