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식물의 한살이는 씨앗에서 시작해 성장하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은 뒤 생을 마치는 생애 주기를 말합니다. 이 과정은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크게 두 가지인 한해살이 식물, 여러해살이 식물로 구분됩니다. 한 해 안에 생애 주기를 모두 마치고 죽는 식물은 나팔꽃, 벼, 해바라기, 봉숭아, 코스모스, 채송화, 옥수수, 강낭콩 등이 있으며 그 과정은 씨앗에서 발아, 줄기와 잎이 자라며 성장, 꽃이 피고 열매를 맺음, 가을이 되면 시들고 죽음의 단계를 거칩니다.
여러해살이 식물 (다년생 식물)은 여러 해 동안 살아가며 매년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식물로 사과나무, 감나무, 민들레, 개나리, 장미, 국화, 은행나무 등이 있으며 그 과정은 첫 해에 씨앗에서 발아하고 성장, 겨울을 지나 다음 해에 다시 새순이 돋고 성장 반복, 일정 시점부터 꽃이 피고 열매를 맺음, 이후에도 매년 같은 과정을 반복 합니다.
식물의 한살이 유형
사람이 아기로 태어나서 어린이, 청소년, 청년, 중년을 거쳐 노인이 되어 일생을 마치는 한살이 과정을 거치듯, 식물도 한살이가 있다. 씨앗은 적당한 환경이 되면 싹이 터서 새싹으로 자라나고, 잎과 줄기를 키우며 꽃피울 준비를 한다. 어떤 식물은 이내 꽃을 피우지만, 어떤 식물은 몇 년에 걸쳐 자란 후 꽃을 피우기도 한다. 이렇게 식물은 꽃을 피워 씨를 만들고, 열매를 내어 후손을 남긴다. 어떤 식물은 한살이 과 정을 일 년 안에 마치고 죽고, 어떤 식물은 여러 해를 산다.
1) 한해살이식물
한해살이식물은 한살이 과정이 일 년 동안 일어나는 식물 이다. 한해살이식물은 죽어서 토양에 유기물을 공급하고, 이듬해에 씨를 다시 심어야 대를 이을 수 있다. 한해살이식물로는 벼, 옥수수, 강낭콩, 봉숭아 등이 있다.
2) 여러해살이식물
여러해살이식물은 한살이 과정이 여러 해동안 일어나는 식물을 말한다. 여러해살이풀은 씨가 싹 터서 자라 꽃이 피고 열매를 맺어 대를 이은 뒤에도 죽지 않는다. 땅 위에 있는 부분은 시들어도 땅속에 있는 부분은 살아서 겨울을 지내다가 이듬해 봄에 새싹이 나와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 과정을 여러 해 반복한다. 여러해살이풀로는 비비추, 민들레 등이 있다. 여러해살이 나무는 씨가 싹트고 몇 년 뒤 적당한 크기의 나무로 자라면 꽃이 핀다. 열매를 맺어 대를 이은 다음에도 죽지 않는다. 여러해살이 나무는 대부분 잎이 떨어진 나뭇가지 상태로 겨울을 지낸 뒤, 다음 해 봄에 새순이 나와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 과정을 여러 해 반복한다. 여러해살이 나무로는 사과나무, 복숭아나무 등이 있다.
1. 벼의 한살이(한해살이)
볍씨는 물과 적당한 온도를 만나면 싹이 트기 시작한다. 땅 속에서 올라온 싹은 잎과 줄기가 점점 자라며 큰다. 어느 정도 크면 벼꽃이 피면서 이삭이 패기 시작한다. 벼꽃은 꽃잎이 없고 벌어진 벼 껍질에서 여섯 개의 하얀 수술이 밖으로 드러난 다. 벼꽃이 진 자리에는 거칠거칠한 노란색 열매인 볍씨가 생기고 이것을 도정하면 ‘쌀’이 된다.
2.해바라기의 한살이(한해살이)
해바라기는 한해살이식물로 높이는 2m 정도로 곧게 자라고 거친털이 나 있다. 잎은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줄기에 어긋나게 달려 있고 잎자루가 길다. 해바라기는 꽃이 피기 전까지는 줄기와 잎이 해를 따라서 도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해바라기는 키가 매우 커서 나무로 혼동하는 경우 가 있지만 씨가 싹 트고 자라 꽃이 핀 뒤 열매를 맺는 과정이 일년 내에 이루어지는 풀이다.
| 해바라기 한살이 |
3.민들레 한살이(여러해살이)
민들레는 이른 봄에 깃털 모양으로 갈라진 잎이 뿌리에서 모여 나며 긴 타원형이다. 꽃은 노란색이고 주로 봄에 핀다. 민들레꽃은 하나의 꽃처럼 보이지만 100개~200개의 작은 꽃이 모여 한 송이를 이루고 있다. 갓털은 가는 털 모양으로 민들레 씨가 바람에 날려 멀리 퍼질 수 있게 한다. 민들레의 잎은 겨울에 시들지만 줄기와 땅속 뿌리는 살아남아 이듬해 다시 꽃을 피우는 강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으며, 들과 산에 흔히 피는 다년생식물이다.
4.복숭아나무의 한살이(여러해살이)
열매에 들어 있던 씨가 땅에 떨어지면 싹이 트고 자라 복숭아나무가 된다. 꽃가루 주머니 가 열리면 꽃가루가 빠져나와 암술머리에 붙어 꽃가루받이가 이루어진다. 암술머리에 붙은 꽃가루는 긴 관을 만들고, 이 관을 따라 씨방안에 있는 밑씨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진다. 수정이 되면 씨방이 열매로 성숙한다.
5. 종자의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소
발아란 식물의 종자, 포자, 화분 및 가지나 뿌리 등에 생긴 싹이 발생 또는 생장을 개시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종자의 발아에는 식물의 씨[種子] 각각에 적당한 온도와 충분한 산소, 적당한 수분이 필요하다. 또 종에 따라 빛을 필요로 하는 것(광발아종자: 잎담배, 상추, 소엽 등)과 암흑을 필요로 하는 것(암발아종자: 토마토, 가지, 오이 등)이 있으나, 대부분의 식물은 빛의 유무와 관계가 없다.
마무리
생물의 한살이란 생물이 태어나서 어린 시절을 거치며 성 장하여 자손을 남기고 죽을 때까지의 과정을 말한다. 식물의 한살이는 식물이 싹 터서 자라 꽃이 피고, 열매를 맺기까지의 과정을 말한다. 식물의 한살이를 관찰하기에는 강낭콩, 봉숭아 등 재배 기간이 짧고 재배 기간 동안 꽃과 열매까지 볼 수 있는 식물이 적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