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커피를 굉장히 좋아하는데요, 맛도 맛이지만 졸릴때 한잔 마시면 잠을 달아나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지금 제가 지내고있는 베트남은 전세계 커피 생산량의 2위를 차지 할 정도로 많은 양의 커피를 수확하고 있습니다. 또한, 많은 베트남 사람들이 즐겨마시는 음료중 하나이기도 하구요. 베트남은 스타벅스와 같은 유명한 커피 브랜드도 현지 커피 프랜차이즈에 밀려 큰 힘을쓰지 못하고 있는 신기한 나라이기도 합니다.
베트남 커피의 역사
19세기 중반 커피가 도입된 이후부터 베트남 전쟁 시기
베트남 커피 재배의 시작 베트남은 외세의 침약을 오랫동안 받아온 나라입니다. 중세시대때는 중국으로부터, 그리고 제국주의 시대에는 프랑스로부터 침략을 받았습니다. 커피도 프랑스로부터 식민지배를 받을때 들여온 작물중 하나입니다. 1857년 한 프랑스 선교사에 의해 남부지역에서 재배가 이루어지기 시작했고, 이는 상업적 목적이 아닌 식민 지배의 착취 수단 중 하나였습니다. 베트남이 속해있는 인도차이나 반도는 지리적 특징으로 풍부한 작물을 재배할 수 있었고, 이렇게 재배한 작물을 지배국들이 착취하는 시스템이었습니다.
1차 세계대전이후 프랑스는 전쟁에서 입은 피해를 만회하기 위해 인도차이나 반도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기 시작했고, 토지수탈과 병행하여 농업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졌습니다. 벼농사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았지만, 고무, 커피, 차와 같은 작물들도 많이 재배되었습니다. 하지만, 2차 세계대전 발발후 일본의 침략과 지배, 베트남 전쟁 등을 겪으며 베트남내의 산업은 황폐화되거나 이전 수준에 머무를 수 밖에 없었고, 커피 산업이 상업적으로 발전하지 않은 시기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1975년 베트남 통일 이후부터 1980년 중엽
베트남 커피 재배의 발전 베트남 전쟁 이후, 베트남은 1개의 공산당이 지배하는 국가로 통일이 되었습니다. 통일 이후, 베트남은 "과거를 청산하고 생산 작업을 위해 농촌으로 가자" 라는 캠페인을 대대적으로 전개했는데, 정부주도로 많은 농업조합이 만들어졌고, 경제발전 정책을 시행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베트남 닥락(Dak Lak), 쟈 라이(Gia Lai), 동 나이(Dong Nai), 붕따우(Vung Tau) 등과 같은 서부 산지 지역과, 동남부 지역에 커피 개발 프로그램을 도입했습니다. 이 시기 베트남의 커피 생산량과 수출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상업적으로 크게 발전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1986년 도이머이 경제개방 정책 이후 오늘날
도이머이 경제개혁 이후의 베트남 커피 산업 1986년 베트남에서 시장 메커니즘을 따르는 개방 경제 정책을 추진하였는데, 새롭게 바꾸다라는 의미를 지닌 '도이머이(Đổi Mới)' 정책을 도입하였습니다. 시장원리와 성과급제 등을 경제에 도입하기 시작하면서, 민간기업의 활동 또한 허용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베트남은 사회주의국가) 특히, 이러한 경제개혁의 성과는 농업 부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잉여곡물을 자유 시장에 내다 팔며 농업 부분의 엄청난 생산량 증가를 가져왔습니다. 이 시기에 베트남의 커피 생산량은 폭발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하며, 점차 세계 커피시장에서 Made in Vietnam의 커피가 늘어났습니다. 베트남 커피의 역사를 보면, 짧은 기간이지만 세계커피시장에 큰 영향력을 지닌국가로 성장해왔습니다.
베트남 커피 종류
Ca Phe Den (카페 덴)
일반적인 블랙커피 처럼 보이는 Ca Phe Den 입니다. Phin Ca Phe (핀커피) 라고도 부릅니다. Phin 이라는 기구를 사용해서 커피를 내리며, 일반적으로 거름종이를 이용한 핸드드립보다는 구멍이 크고, 로부스터 원두를 주로 사용하는 만큼 맛이 진하고 쓴것이 특징입니다. 어떻게 보면, 아메리카노와 에스프레소의 중간쯤에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연한커피를 좋아하는편이라, Ca Phe Den을 시켜 얼음을 넣고 물을 추가해서 먹는편입니다. 베트남의 유명 커피 프랜차이즈인 'Cong Ca Phe'(꽁 카페)는 별도의 에스프레소 기계가 없습니다. 이처럼 베트남의 많은 카페들은 에스프레소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Phin을 이용해 내린 커피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Bac Siu(박시우) Ca Phe Sua(카페 쓰어)
베트남식 밀크커피인 박시우 카페 쓰어는 Phin 으로 내린 Ca Phe Den에 연유를 섞어 마십니다. 여기에 얼음을 추가하면 'Ca Phe Sua Da' ('Da' 얼음 이라는 의미) 연유를 넣은 베트남커피의 기원은 베트남이 프랑스의 식민지배를 받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본국에서 우유를 섞은 카푸치노를 즐기던 프랑스인은 베트남에서도 이와 같은 커피를 즐기고 싶어 했으나 열대날씨의 특징을 보이는 베트남에서는 당시 신선한 우유를 보관하는것이 쉽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우유를 응축한 '연유'로 만들면 장기간 보관이 가능했고, 이를 커피에 섞어마시면서 '연유커피'가 이어져오고 있다고 합니다.
Ca Phe Trung (카페 쯩 계란커피)
일명 '계란 커피' 라고도 불리는 Ca Phe Trung 입니다. 베트남어로 'Trung'은 계란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의 쌍화차처럼 차위에 계란을 띄우는것이 아니라, 계란과 연유를 이용해 커스타드 크림을 만들어 Phin으로 내린 커피위에 올리는 방식입니다. 하노이 'Cafe Giang' 라는곳에서 처음 시작했다고 하며, 이 카페는 하노이의 유명 관광지인 '호안끼엠'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저도 'Cafe Giang'에서 계란 커피를 마셔봤는데, 따뜻한 커스타드 크림과 씁쓸한 커피의 조화가 상당히 괜찮았었습니다. 또한, 옹기종기 작은 의자에 앉아 마시는 커피도 베트남의 느낌을 확실히 느낄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