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오늘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나무젓가락의 비밀을 알려드릴게요. 전 개인적으로 나무젓가락의 향이 거슬리기도 하고, 어쩔때는 천연나무향의 냄새가 아니라는 느낌때문에 잘쓰지않고 오로지 쇠젓가락을 추구하는 사람입니다. 정보를 찾아 보고 나무젓가락에 대해 알고나니 쇠젓가락을 더 좋아하게 되었어요.나무젓가락은 친환경적이고 사용감이 좋아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지만, 올바른 사용과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잘못 사용하면 건강에 해로울 수 있어요. 아래에 꼭 알아두어야 할 주의사항을 정리해봤어요
나무젓가락의 비밀
수입 나무젖가락 속 화학약품은 국내에서 정한 '인체허용치'에 맞춰서 들여온다고하지만 그 허용치는 나무젓가락 1개 의 기준치 밖에 적용이 안된답니다. 만약, 하루에 나무젓가락을 1개 이상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해요. 중국에서는 나무젓가락의 유통기한을 4개월로 정해놓지만, 국내 제품은 사실상 표시가 없는 경우가 많죠. 오래된 나무젓가락은 곰팡이와 세균 번식 위험이 높고, 색이 변하거나 냄새가 날 경우 즉시 폐기해야 합니다.
나무젓가락과 뜨거운 물은 앙숙관계
화학약품은 뜨거운 물에 더 잘 우러나기 때문에 나무젓가락을 끓는 물에 넣거나 뜨거운 국물에서 오래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습관적으로 빠는 습관도 자제 해야됩니다. 유통기한이 존재하는 나무젓가락 나무젓가락의 유통기한은 4개월인데, 대부분 나무젓가락의 유통기한을 모르고 계실것 같아요. 나무젓가락의 나무에 습기가 있기 때문에 오래 두고 사용할 경우 전염병을 유발하는 황색포도균, 대장균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져요. 이밖에도 나무젓가락에는 제조과정에서 아산화항(호흡곤란, 아토피유발), 이마자릴(독성이 높은 농약 물질)이 있어 자주쓰면 위험합니다.
일부 제품에는 과산화수소, 이산화황, 비페닐 등으로 표백처리가 되어오는 경우가 많으며, 뜨거운 국물에 담거나 입에 오래 물고 있으면 화학물질이 용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다이소나 대형마트에서 대나무, 나무에 칠을 하여 판매하는 나무젓가락도 영구적인 식기가 아니며 사용 빈도에 따라 3-6개월마다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나무젓가락 사용 주의사항
아이스바용 나무막대, 어묵용 나무꼬치도 다수가 중국 수입품으로 인체에 유해한 화학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으니 섭취시 주의가 필요해요. 자연환경에도 인체에도 백해 무익한 나무젓가락 적정량인 하루 1개말고 하루 0개 사용 어떨까요? 나무젓가락 편리해서 좋긴하지만 화화물질을 발라 당연히 몸엔 안좋을듯합니다. 특히 나무젓가락으로 국에 있는 건더기를 떠먹는 다거나 할 때는 국에 그대로 담궈지니 제일 최악이라고 합니다. 김밥먹을 땐 사용해도, 컵라면 먹을 때도 국물에 담궈지는 것이니 몸을 생각한다면 쇠젖가락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컵라면이나 짬뽕 국물에 젓가락을 오래 담궈두지 않기
- 입에 물고 빨거나 씹는 습관 자제하기
- 어린아이에게 무분별하게 사용하게 하는것 주의
나무젓가락 |
결론
나무젓가락은 잘 사용하면 편리하지만 관리를 소홀히 하거나 사용 빈도가 많은것은 좋지 않습니다. 1급 발암물질(아플라톡신)이 생길 수도 있으니 주의하시고, 가능하면 쇠젓가락을 사용하는 것을 습관화 하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