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방울 모양이 둥근이유, 이술이 둥근이유
물방울이 둥근 모양을 가지는 이유는 표면 장력 때문으로 표면 장력은 액체가 표면적을 최소한으로 줄이려는 힘으로, 같은 부피를 가질 때 표면적이 가장 작은 기하학적 형태는 구이기 때문에 물방울은 둥근 모양이 됩니다. 이 힘은 물 분자들 사이의 응집력에서 비롯됩니다.
물 분자의 성질
물의 화학식은 하나의 산소 원자와 두 개의 수소 원자가 공유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산소 원자는 수소 원자보다 전기 음성도가 커서 전자를 더 강하게 끌어당깁니다. 이로 인해 산소 원자 주변은 약한 음전하를 띠게 되고, 수소 원자 주변은 약한 양전하를 띠게 됩니다. 이처럼 전하가 불균등하게 분포하는 것을 극성이라고 하며, 물 분자는 대표적인 극성 분자입니다. 이러한 극성 때문에 물 분자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생기는데, 이를 수소 결합이라고 합니다. 한 물 분자의 수소 원자와 다른 물 분자의 산소 원자 사이에 약한 결합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이 수소 결합은 물의 다양한 특성을 설명하는 핵심적인 원인이 됩니다.
표면 장력
수소 결합으로 인해 물 분자들은 서로 강하게 끌어당기는 인력을 가집니다. 물방울 내부에 있는 물 분자는 모든 방향에서 다른 분자들의 인력을 받으므로 알짜힘은 0이 됩니다. 하지만 표면에 있는 물 분자는 바깥쪽으로는 인력을 받지 못하고 안쪽으로만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됩니다. 이러한 불균형한 힘 때문에 물의 표면은 마치 얇은 막처럼 수축하게 되며, 이 힘을 표면 장력이라고 부릅니다. 이 힘은 물이 표면적을 최소화하려는 성질을 만들고, 그 결과 물방울은 가장 효율적인 형태인 구형이 됩니다. 물은 다른 액체에 비해 수소 결합이 강하기 때문에 표면 장력이 매우 큽니다.
물의 성질과 물질의 상태
물의 독특한 성질은 물 분자의 극성과 수소 결합에서 비롯됩니다.
높은 끓는점과 녹는점
물과 비슷한 분자량을 가진 다른 물질들이 기체 상태로 존재하는 것과 달리, 물은 수소 결합 때문에 분자 간 인력이 강해서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합니다. 물 분자를 기체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끓는점이 높아집니다.
높은 비열과 기화열
물은 온도를 1℃ 올리는 데 많은 열량이 필요하며(높은 비열), 액체에서 기체로 상태를 변화시킬 때도 많은 열을 흡수합니다(높은 기화열). 이는 수소 결합을 끊는 데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기 때문입니다.
고체 상태의 부피 팽창
대부분의 물질은 고체가 되면 분자 간 거리가 가까워져 부피가 줄어들지만, 물은 얼음이 되면 수소 결합 때문에 육각형 모양의 규칙적인 구조를 형성하며 분자 간 거리가 멀어져 부피가 약 9% 증가합니다. 이 때문에 얼음이 물 위에 뜨게 되는 것입니다.
물질의 상태
물은 온도와 압력에 따라 체(얼음), 액체(물), 기체(수증기)의 세 가지 상태로 존재합니다. 물질의 상태는 분자의 배열과 운동에 따라 결정됩니다. 고체는 분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제자리에서 진동하며, 모양과 부피가 일정합니다. 액체는 분자들이 비교적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자유롭게 움직이며, 담는 그릇에 따라 모양이 변하지만 부피는 일정합니다. 기체는 분자들이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매우 활발하게 움직이며, 담는 용기의 모양과 부피를 가득 채웁니다.
이슬 모양이 둥그런 이유는 무엇일까?
액체의 분자들은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인 응집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 힘은 액체 내부의 분자들에게는 모든 방향에서 균형 있게 작용하지만, 액체의 표면에 있는 분자들에게는 아래쪽(액체 내부)으로만 작용하게 됩니다. 이렇게 불균형한 힘 때문에 액체 표면은 마치 팽팽하게 당겨진 고무막처럼 행동하게 되며, 이 힘을 표면 장력이라고 합니다.
이슬 모양 |
이슬이 둥근 이유인 표면 장력은 액체가 표면적을 최소한으로 줄이려는 경향을 만듭니다. 같은 부피를 가질 때 표면적이 가장 작은 기하학적 형태는 구(球)입니다. 따라서 이슬방울은 표면 장력에 의해 가장 안정적인 형태인 둥근 모양을 가지게 됩니다. 물은 수소 결합으로 인해 분자 간 인력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다른 액체에 비해 표면 장력이 매우 큽니다. 이 때문에 이슬이나 빗방울 같은 물방울은 둥근 모양을 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무중력 상태에서는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물방울이 완벽한 구형을 이룹니다. 이 현상은 소금쟁이가 물 위에 떠다니거나, 컵에 물을 가득 따랐을 때 컵 가장자리 위로 물이 볼록하게 올라오는 현상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